세상은 나날이 진일보하고 있다. 이제는 스마트폰이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 거 아냐가 현실인 가운데, 늘 가던 병원을 방문하고 깜짝 놀라버렸다.
난데없이 신분증을 달라는 거다. 요즘 신분증을 늘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싶은데, 없으면 진료가 불가하단다. 이게 무슨 일이지 싶었다.

하지만 실물 신분증이 아니라도 모바일에서 건강보험증을 가지고 다니면서 대신할 수 있다는 사실! 아래와 같이 안내를 받고, 당장 진료를 받아야 하니 받아보기로 했다.
그리하여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발급하는 방법과 사용법까지 후기를 남겨본다. 일단 매우 간단하다는 거!

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 및 사용후기
일단, 구글앱이나 앱스토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하여 앱을 다운로드한다.

다운로드 후에 열기를 하고 들어가면 여러 확인 과정들을 거치게 된다.
먼저, 건강보험증 불법사용금지 안내문은 닫기를 누르고, 개인과 요양기관 중 개인을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준다.

다음으로 언어는 한국어로 선택되어 있으니 확인 누르고, 다시 개인정보 관련해서는 다음을 눌러준 후에 건강보험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에 확인을 눌러준다.

그리고 이어지는 여러 확인도 계속 눌러주는데,
건강보험 자격 본인확인 qr, 바코드, 기능접근 권한 안내, 정보수집 약관까지 다 확인을 눌러준다. 만일 얼굴인식 로그인을 사용하시는 분은 얼굴인식 face ID로 선택을 할 수 있다.

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본인인증 과정만이 남아있다.
본인확인 하기를 누르고, 다음을 누른 후에, 본인인증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.
휴대폰 인증 혹은 금융인증서 인증 둘 중에 선택하면 되는데, 나는 휴대폰 인증을 선택하고 PASS로 본인 인증을 마쳤다.

본인인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에 확인을 누르면,
비밀번호 설정 화면이 나오고, 4자리 숫자로 비밀번호를 설정해 주면 된다.
여기서 생체인증으로 로그인을 할 수도 있는데, 이건 옵션이다. 나는 나중에 하기로 선택해 주었다.

참고로, 모바일 건강보험증 사용을 위해서는 업데이트를 하라고 되어 있다. 나는 이미 업데이트가 완료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었다.
그리고 바로 내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뜬다.
누르고 들어가면 성명과 생년월일, 증번호, 조회일자까지 써있는 내역을 볼 수 있다. (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스크린숏이 되지 않는다.)
하단에 보면 QR제출이라고 쓰인 빨간 단추를 눌러 뜨는 QR코드를 진료접수시에 보여주면 끝! 간단하다.
참고로, 이 QR코드도 캡쳐가 불가능해서 그때그때 바로 사용해야 한다.

2024년 5월 20일부터 이 건강보험증 확인을 위한 신분증 제시 혹은 모바일 건강보험증 제시가 완전 의무화되었으니
미리미리 알고 준비해두면 난처한 상황을 피할 수 있겠다.
이상,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방법과 사용법 후기를 남겨보았다.
함께 보면 좋은 글들